이번 글에서는 저번글에 이어서 이동 평균선의 상세 분석에 대해서 좀 더 알아보겠습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지는 글이기 때문에 이전 글을 먼거 보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주식] - 주식 이동 평균선 상세 분석 1편
저번 글에서는 이동 평균선 패턴 1번에서 3번까지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나머지 패턴들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제 4패턴 대응법(안정 하락기)》
제 4패턴은 안정 하락기로써, 가격이 계속 하락할 경우, 가장 먼저 움익임이 빠른 단기선이 하락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뒤에 중기선이 단기선을 뜷고 내려오고, 다시 그 뒤를 이어서 가장 움직임이 느린 장기선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 결과로 이동 평균선의 배열은 위에서 부터 장기선, 중기선, 단기선의 순서로 배일되게 됩니다.
제 1패턴과 정확하게 반대 되는 시기인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하락 추세가 뚜렸하게 보입니다. 이 패턴에 들어서게 된다면, 왠만하면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주식을 매도해야할 시점입니다. 특히나 3개의 이동 평균선의 간격이 벌어지고 있는 상태라면 더욱더 매도를 해야할 시점입니다.
이렇게 제 4패턴이 지속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게 되면 제 5패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참고로 제 1패턴의 상승 안정기는 천천히 오르는 것에 반해서, 그에 반대되는 제 4패턴은 빠르게 하향하는 특징을 나타냅니다.
《제 5패턴 대응법(상승 변화기1)》
가격이 상승 추세로 전환될 때에는 움직이 가장 빠른 단기선이 제일 먼저 상승하기 때문에 중기선을 밑에서 위로 뚫고 올라옵니다. 그 결과로, 이동 평균선의 배열은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장기선, 단기선, 중기선의 순서로 배열되게 됩니다.
이 패턴에서는 매수를 지양하고 관망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기선이 중기선을 뚫고 위로 올라갔다고 하더라도 중기선과 장기선이 아직 하향곡선(우하향)을 그리고 있다면 매도 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중기선과 장기선이 우하향이고 간격이 넓게 유지되어 있다면 상승 추세가 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단기선이 계속 상승하고 있고, 중기선의 하락이 끝나고 거의 평평해졌을때 매수 포지션
그러나 원칙적으로는 상승 추세의 시작 단계이므로 선발대를 조금 보내는 것도 좋은 판단입니다.
단기선이 다음에 어느 선과 교차하느냐가 중요합니다. 보통은 단기선이 장기선과 교차해서 제 6패턴으로 넘어가게 되지만, 단기선이 다시 아래를 향해서 중기선과 교차하면서 제 4패턴으로 돌아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이 일시적 반등입니다.
《제 6패턴 대응법(상승 변화기2)》
제 5패턴에서 상승 추세가 계속되면 단기선은 장기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올라오게 됩니다. 그 결과로 이동 평균선의 배열은 위에서 부터 차례대로 당기선, 장기선, 중기선의 형태로 나열되게 됩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시면 더 명확하게 보이실 겁니다.
이 패턴에서는 혹시나 주식이 오를 줄 알고 주식이 계속 하향 곡선을 하고 있을때, 즉 제 4패턴(안정 하향기)에서 매수한 주식이 있다면 매도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와 동시에, 조기 선발대로 조금 보내는 것도 검토해볼만 합니다.
조기 선발대는 보내는 조건은 아래의 3가지 조건을 만족했을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 제 4패턴(안정 하락기)가 어느정도 기간이 길어야 한다
- 제 4패턴에서 제 6패턴까지 눌림목 없이 이행되어져야 한다. 만약 그 사이에 눌림목이 있었다면, 이번에도 눌림목일 가능이 있다.
- 단기선과 중기선이 우상향이고 장기선은 거의 평행에 가까워야 한다
혹시라도 위의 조건을 모두 만족해서, 매수를 했지만, 다시 단기선이 하강해 다른 선과 교차하게 된다면 즉시 매도 할 것을 잋지 말기를 바랍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더멘털을 믿지 않아야 하는 이유 (6) | 2024.11.12 |
---|---|
오늘의 관심주 폴라리스오피스 (1) | 2024.11.04 |
주식 이동 평균선 상세 분석 1편 (3) | 2024.11.01 |
이동 평균선 대순환 6가지 패턴 (2) | 2024.10.31 |
이동 평균선의 대순환 분석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