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이동평균설을 보고 우리가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서 5일 이동 평균선을 한 번 보겠습니다.
5일 이동 평균선은 오늘부터 과거 5일동안의 종가 평균값을 계산해서 선으로 연결해 놓은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5일 이동 평균선을 가지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라는 의문이 다시 생깁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5일동안의 평균 매수가와 지금 현재의 가격을 비교할 수 있다라는 것입니다.
아래의 그림을 보고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아래 그림은 오늘(2024년 10월 29일)날짜의 삼성전자의 차트입니다.
그림의 2번 항목을 보면, 5일 이동평균선의 가격은 57,760원입니다.
이말은 오늘(2024년 10월 29일)부터 과겨 5일전(2024년 10월 25일)까지의 가격을 모두 더해서 5로 나눈 값이 57,760원이라는 말입니다.
1번항목을 보시면 현재 오늘(2024년 10월 29일) 가격은 59,200원입니다.
이말은 5일동안 매수한 사람은 지금 현재 이익을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얼마만큼의 이익이냐 하면, 단순히 계산하자면,
59,200원 - 57,760원 = 1,440원
평균 주당 1,440원 만큼 이익을 보고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의 경우를 한 번 보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삼성전자의 2024년 9월 30일의 정보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1번 항목을 보시면, 9월 30일의 종가는 61,500원입니다.
2번 항목을 보시면, 해당 날자의 5일 이동평균선의 값은 63,160입니다.
그렇다면 이건 무슨 의미일까요?
단순하게 계산해 보겠습니다.
63,160 - 61,500 = 1,660
현재 과거 5일동안 이 삼성주식을 구매한 사람은 평균적으로 1,660원만큼의 손해를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 5일 이동 평균가(매수가)를 파악하고 이것을 현재의 가격과 비교해서, 지금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손해를 보고 있는지, 아니면 이익을 보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삼성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손해를 보고 있는지, 이익을 보고 있는지 알았다면, 또 무엇을 알 수 있을까요? 안다라고 하기 보다는 유추해 볼 수 있을까요가 더 맞는 말 같습니다.
먼저 또 말씀드리면, 지금 제가 설명한 것은 단 하루이지만, 단 하루만 보고 알 수는 없습니다. 전체적인 이동평균선의 흐름을 봐야 합니다.
계속해서 5일선을 예로 들겠습니다.
아래의 그림을 한 번 보겠습니다. 그림에서 분홍색이 5일선입니다.
먼저, 1번영역을 한 번 보겠습니다.
1번 영역에서, 캔들의 색은 모두 파란색으로 종가는 모두 하락을 하였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우상향으로 주식이 오르고 있습니다.
5일선과 캔들을 같이 한 번 보시겠습니다. 보시면, 항상 캔들이 5일선 위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과거 5일동안 주식을 매수 했던 사람이 계속해서 이익을 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만약을 말해보겠습니다.
만약 당신이 삼성주식을 5일전에 구매했고 현재도 수익권인 상태인데, 가격이 떨어지지 않고, 5일 이동평균선 위로 계속해서 가격이 유지된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아마도 '어? 이거 계속 올라갈수 있을 것 같은데? 더 사도 될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하면서 매수를 할 것입니다. 물론 반대의 생각도 할 수 있습니다. '아 이정도면 됐어. 떨어질지도 모르겠어. 이정도만 수익에 만족할래'라고 말하면서 매도를 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하지만 매도 보다는 매수, 즉 계속해서 5일평균선 위로 가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계속 해서 올라갈거라고 믿고 매수하는 사람이 더 많아져, 매수세가 강해지게 되어, 그 이후로도 몇일을 더 올라가게 됩니다.
상승 추세를 몇일 유지하게 된 것입니다.
이번에는 2번 영역을 한 번 보겠습니다.
정확히 1번영역의 설명과 반대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5일 이동 평균선이 밑으로 향하고 있고 캔들 역시 5일선 밑으로 놓여져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많은 사람들이 계속해서 손해를 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손해를 보지 않기 위해서 매도를 하기 때문에 계속해서 주식의 가격이 떨어지는 추세로 자리잡게 됩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이동 평균선 상세 분석 1편 (4) | 2024.11.01 |
---|---|
이동 평균선 대순환 6가지 패턴 (2) | 2024.10.31 |
이동 평균선의 대순환 분석 (0) | 2024.10.30 |
이동 평균선과 그랜빌의 법칙 (2) | 2024.10.29 |
이동 평균선의 역할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