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기본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이동평균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동평균선에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주식 매매 프로그램에 보더라도 많은 종류가 있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을 예를 들면, 아래의 3가지가 있습니다.
단순 이동 평균선(SMA, Simple Moving Average)
가중 이동 평균선(WMA, Wighted Moving Average)
지수 이동 평균선(EMA, Exponentila Moving Average)
위의 3가지 이동 평균선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동 평균선은 '단순 이동평균선(SMA)' 일 것입니다.
이제 단순 이동 평균선이 어떻게 계산되어지는 알아보겠습니다.
'평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삼성주식의 5일평균을 구하려고 하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될 것입니다.
삼성주식의 5일 종가 가격
1일째 - 10000원
2일째 - 11000원
3일째 - 12000원
4일째 - 10000원
5일째 - 9000원
이렇게 삼성주식의 5일동안의 종가가 위와 같다면 5일동안의 평균값을 구하려면 5일동안의 종가를 모두 더한 후, 5로 나누면 됩니다.
(10000원 + 11000원 + 12000원 + 10000원 + 9000원) ÷ 5
너무나 쉽습니다.
계산해 보면 답은 10,400원이 됩니다.
이 10,400원이 5일째 종가가 나온 시점을 포함해서 최근 5일동안의 평균값이 됩니다.
만약 다음날이 되면 어떻게 될까요?
1일째 - 10000원 <----- 하루가 지났기 때문에 계산에서 지워집니다.
2일째 - 11000원
3일째 - 12000원
4일째 - 10000원
5일째 - 9000원
6일째 - 13000원 <---- 다음날
(11000원 + 12000원 + 10000원 + 9000원 + 13000원) ÷ 5
위의 식의 답은 11,000원이 됩니다.
이런식으로 계속해서 하루가 지날때마다, 오늘 기준으로 5일전까지의 종가값을 모두 더해서, 5로 나눕니다. 그리고 그렇게 해서 나온 값들을 선으로 쭈우욱 연결해 놓은 것이 5일 이동 평균선이 되는 것입니다.
이쯤 했으니,이제는 10일선도 계산해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20일선도, 60일선도, 120일 선도 어떻게 계산되어져 그래프로 그려지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그림은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영웅문이라고 하는 증권프로그램의 예시 화면이다.
그림에서 보면 "종가 단순 5 10 20 60 120" 이렇게 적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종가 단순 5 10 20 60 120"이라고 하는 말을 풀어쓰면 이와 같다.
'종가 단순' - 종가를 기준으로 하는 단순 이동 평균선(SMA)
뒤의 숫자는 각각 5일 단순 이동 평균선, 10일 단순 이동 평균선, 60일 단순이동 평균선, 120일 단순 이동 평균선이 된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이동 평균선 상세 분석 1편 (3) | 2024.11.01 |
---|---|
이동 평균선 대순환 6가지 패턴 (2) | 2024.10.31 |
이동 평균선의 대순환 분석 (0) | 2024.10.30 |
이동 평균선과 그랜빌의 법칙 (2) | 2024.10.29 |
이동평균선을 보고 무엇을 알 수 있을까? (0) | 2024.10.29 |